성대단축술/전유합후진술
(Vocal Folds Shortening and Retrodisplacement of Anterior Commissure)은
음성여성화에 있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수술방법입니다.
기존에 시행되었던 음성여성화수술들의 방법과는 차별된 수술기법으로
목에 절개 없이 입안으로 내시경을 통해 성대점막과 성대고유층의 1/3 지점을
제거한 후 영구적인 실을 사용하여 꿰매는 방법입니다.
수술 부위는 3~5mm로 아주 작기 때문에 미세후두기구를 사용해
양쪽 성대 근육의 앞쪽 부분을 꿰맨 후 매듭을 집니다.
다년간 동물 실험을 통해 김형태 원장님이 착안해 낸 수술법으로
숙련된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수술은 수술 결과를 영구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영구재료를 사용하여
성대를 꿰맨 후 성대를 얇게 만들어줍니다.
흡수되는 실을 사용하게 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수술 부위가 느슨해질 수 있게 되지만, 영구적인 실의 사용은 꿰맨 부위를
오래도록 지탱하여 성대를 짧고 팽팽하고 얇게 유지시켜서 영구적이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먼저 성대앞쪽의 1/3 부분의 점막을 제거한 후 성대근육을 꼬매주는 방법으로 성대의 진동길이 만큼 줄여주게 되며
성대의 앞쪽인 전유합을 뒤쪽으로 이동시켜서 자연스러운 성대진동을 얻을 수 있게 만드는 수술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후두에 존재하는 약 50개의 근육에 아무런 손상을 주지 않고 성대길이를 줄여줌으로서 기본주파수를 올려서 자연스러운 여성의 음성을 얻게 만들어 줍니다.
수술 전 성대
수술 1년 후 성대
수술 후 결과로서, 성대단축술 및 전유합후진술은 성전환자들의 경우 아래 테이블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남성주파수 (100hz~150hz)에서
여성주파수 (200hz~250hz)로 평균 73.6hz 이상의 주파수를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otal group (Hz) (전체그룹) |
Transgender group (Hz) (성전환자 그룹) |
Androphonia group (Hz) (부신발성장애 그룹) |
|
---|---|---|---|
Pre-operation 수술전 | 144.1 | 134.6 | 153.5 |
Post-operation 3 수술 3개월 후 | 194.8 | 190.3 | 199.4 |
Post-operation 6 수술 6개월 후 | 207.4 | 208.2 | 206.5 |
목젖제거 유무의 여부에 따라 목젖제거를 받지 않은 그룹의 경우 음의 상승이 더 잘 이루어 지며 결과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Adam’s apple shaving(+) 목젖제거를 받은 경우 |
Adam’s apple shaving(-) 목젖제거를 받지 않은 경우 |
|
---|---|---|
Pre-operation 수술전 | 138.9 | 130.2 |
Post-operation 수술 후 | 206.2 | 210.1 |
Average pitch increase 평균 주파수 상승 | 67.3 | 79.9 |
92%의 만족도를 내고 있는 이 성대단축술 및 전유합후진술은 음의 상승이 완전히 여자주파수로 올라가기까지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 소요됩니다.
환자 개인의 성대 상태나 수술 후 성대 및 목소리 관리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수술 후 관리는 새로운 성대에 완전히 적응하기 위해
수술 후 1년정도까지 소요됩니다. 새로운 성대에 적응하기 위해서 음성재활훈련이 필요하며, 음성검사 (CVE) 검사에 따라 성대 떨림이 있는 경우 성대 떨림을 차단하여
음의 상승을 원활히 해 주기위해서 지속적인 보툴리눔톡신 치료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성대단축술 및 전유합후진술은 수술 후 바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수술이 아니기 때문에 수술 후에도 꾸준하게 여성공명주파수 생성하는 방법을 훈련하고,
새롭게 만들어진 성대의 발성시스템에 적응하여 발성 패턴을 다시 새롭게 바꾸는 것이 음성여성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수술 후 특이한 합병증은 없으며, 일시적으로 성대 이물감, 쉰 목소리, 목의 통증, 가래, 기침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적절한 약물과 시간경과 후 호전됩니다.
그러므로 음성성형수술의 경우 개개인에 맞는 그리고 그 사람이 수술후 낼 수 있는 목소리의 정도를 예측하여 적절한 수술을 선택하여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목소리의 음질. 즉, 소리의 공명은 음성치료와 음성재활을 통하여 본인 스스로 인두강의 모습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좀더 여성스러운 목소리로 변화가 가능합니다.
음성여성화수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술적 경험이 많고 음성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곳에서 수술 받는 것이 중요하며,
시술의 경험이 적거나 목소리 성형의 시술경험이 없고 음성치료와 재활을 할 수 없는 곳에서 시술 받을 경우 목소리 개선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음성여성화수술은 정확한 진단 아래 시술 경험이 많은 음성전문의에 의해 시술을 받으셔야 합니다.
성대단축술 | 윤상갑상고정술 | 갑상연골축소술 | 성대횡격막생성술 | 레이져음성적응술 | |
---|---|---|---|---|---|
수술방법 | 성대앞쪽점막을 제거한 후 성대근육을 꼬매주어 성대길이를 줄여주는 방법 |
높은 소리를 낼 때 윤상갑상근이 수축하여 윤상연골과 갑상연골이 접근 하고 성대가 당겨져서 긴장하는 원리를 이용. 윤상연골과 갑상연골을 앞쪽에서 당겨 고정시킴 |
갑상연골 앞부분을 절개하여 제거한 후 성대를 축소하여 잘라주는 방법 |
성대의 진동하는 부분을 짧게 하여 음성주파수를 높이기 위해 성대의 앞쪽부위를 좁혀서 붙여주는 방법 |
내시경하에 레이져를 이용하여 성대의 가장 심한 파동을 유발하는 막성대부분의 점막만을 레이져로 증발시켜 상처를 만들고 점막파동의 강직성을 높여 목소리를 높임 |
피부절개 | 무 | 유 | 유 | 무 | 무 |
출혈 | 무 | 유 | 유 | 무 | 무 |
마취 | 전신 | 전신 | 전신 | 전신 | 국소 |
음질 | 자연음 | 가성 | 높은가성 | 거친음 | 거친가성 |
노래 | 가능 | 불가능 | 부분적가능 | 불가능 | ? |
합병증 | 거의없음 | 염증, 음역대가 높아짐. 음의 불안전한 상승 |
염증, 과도한 음색의 변화, 부자연스러운 음성 |
목소리의 변성 및 음질의 저하 | 목소리의 변성 및 음의 저하 |
주의사항 | 1달간 음성사용 제한 및 1달간 술, 담배 금지 |
아무리 긴장을 고조시켜도 성대가 두꺼워 음도 상승에 한계가 있음 |
과도하게 성대가 절제될 경우 목소리 회복 불능 |
환자별 선택적 시술 및 음도 상승에 한계가 있음 |
회복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 주파수 상승에 한계 |
예송이비인후과는 현재 성대단축술 및 전유합후진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들 중 가장 많은 후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우수한 수술 결과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예송이비인후과 음성센터는 2013년 6월 5일 서울 코엑스 컨벤션에서 개최된 제20차 국제이비인후과연맹 세계학술대회
(The 20th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to-Rhino-Laryngological Societies; IFOS)에서 음성여성화수술에 관하여 초청강연을 하였습니다.
세계이비인후과학회 올림픽이라 불리는 IFOS는 125개국 5만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이비인후과 분야 최대 단체로 4년마다 학술대회가 개최됩니다.
이 학술대회에서 예송이비인후과 음성센터는 아시아를 대표해 음성여성화의 새로운 수술법인 '성대단축술 및 전유합생성술(VFSAAC)'에 대한 임상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독일, 프랑스 등 세계적인 권위자들과 함께한 자리에서 '성대단축술 및 전유합생성술(VFSAAC)'은
기존 수술법과 비교, 평가를 할 수 있는 좋은 수술법이라는 호평을 받았습니다.
'성대단축술 및 전유합생성술'은 예송이비인후과 음성센터 김형태 원장이 가톨릭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당시 부신성기증후군과 같이
유전성질환으로 여성이 남성화된 목소리를 갖는 환자를 치유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여 고안해낸 수술방법입니다.
기존의 피부를 절개해서 시행한 음성여성화수술과는 달리 내시경을 통해 성대모양을 여성의 모양으로 변경하는 수술법으로
피부를 절개하지 않아 후 두와 성대조직에 손상이 적으면서 수술 후 자연스러운 목소리 변화가 특징입니다.
효과적으로 목소리를 자연스럽게 여성화시키는 이 음성여성화수술의 수술방법이 12년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고 권위의 이비인후과 학술지인 "The Laryngoscope"에 논문으로 게재되었습니다.